1914년경 시내 지명은 읍성 성벽을 중심의 지명이었으나 서성내리, 북문외리는 서정동(西町洞)로, 남성내리, 남문외리, 상남문리, 상서문리, 하서문리, 창내리는 남정리(南町里) 등 일본식으로 사용되었다. 1915년에는 시내 중심을 관통하는 ’…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조선 시대에는 장시(場市)라 하였고, 일제강점기에는 장시(場市), 시(市), 시장(市場)으로 혼용하다가 1938년 이후부터는 시장(市場)이란 용어로 정착되고, 지금은 전통시장이라 한다. 일제강점기에 상주의 시장 개수는…
일제 강점기 때 상주 대표적 여관은 이노우에(井上), 카가(加賀屋), 사쿠라(櫻屋), 야마다(山田) 등의 여관이 있었다. 여관 이름은 주인의 성씨를 딴 것이며, 이 사진은 카가 여관의 전경이다. 당시에 경북선 상주 지정여관(御旅館)으로서 전화는 104번…
왕산 남쪽 밑 상주목 관아 남쪽에 있었던 연당(蓮堂)으로서 1578년경에 정곤수 상주 목사가 창건하였는데 병란에 타 버렸다. 그 후에 1614년경에 한술 목사가 중건하고, 정자 좌우에 못을 파고 연과 화초를 심었다. 1616년 강복성 목사가 더욱 아름답…
객사는 객관(客館)이라고도 한다. 기능은 중앙에서 온 사신의 숙소였으나 국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 闕牌)를 모시고, 지방 수령이 매월 초하루와 보름, 경축일에 대궐을 향해 망궐례(望闕禮)를 올렸다. 읍성 내 주요 위치에 자리하면서 동헌보다 격이 높은…
농잠학교는 1921년 3월 12일(조선총독부 고시 제417호) ‘상주공립농잠학교’로 설치 인가를 받았다. 학생은 심상소학교나 보통학교(6년) 졸업자로서 12세 이상인 자가 입학 대상이었다. 사진 하단부에는 ‘1945(4278).10.16. 優勝’으…
일제강점기 상주에는 금융조합이 7개가 있었다. ‘상산금융조합’이 1907년 9월 24일 가장 먼저 설립되었다. 그 이후에 1919년 1월 20일 함창, 1922년 9월 1일 화령, 9월 12일 상주, 1925년 12월 9일 옥산, 1928년 12월 3일 …
상주는 처음 ‘안동 우체사’의 관할 구역으로써 1895년 10월 21일 우정(郵政) 업무가 개시됐다. 그러나 을미사변과 단발령 등에 따른 소요사태에 따라 업무가 마비되어 문경으로 잠시 옮겼다가 1896년 8월 10일부터는 상주군에서 업무가 개시됐다. 18…
전문 7조와 부칙으로 된 ‘사찰령’이 1911년 6월 3일 공포되었다. 이 영에 따라 한국불교는 조선총독부 감독하에 예속되었으며, 교단은 30 본산으로 나누어졌다. 1924년에는 화엄사가 승격되어 31 본산이 되었고, 모든 사찰의 의식,…
일제강점기 상주 군청은 왕산 아래 옛 상주목의 관아 건물을 처음 사용했다. 이때 규모는 본청 1동, 59.27평에 부속 건물 4동, 36.92평으로 운영되었는데 청사가 협소하고 부대시설이 부족하게 되자 일본식 건물을 증축하면서 그대로 사용했다. …
우리나라의 초등교육은 갑오개혁 이후 근대 교육제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는 1895년 7월 19일 ‘소학교령(칙령 145호)’에 의해 소학교로 시작되었다. 1906년 8월 27일에는 ‘보통학교령(칙령 44호)’이 공포되면서 보통학교로 바뀌었다. 그러나 일본인…
상주 시내는 시구개정(市區改正)을 하면서 도로의 명칭도 상주 읍성 남문을 기준으로 남북 도로를 본정(本町), 그 좌측을 서정통(西町通), 우측을 동정통(東町通) 등으로 정명개정(町名改正)을 했다. 이러한 명칭은 행정 도로 이름이고, 실제는 읍성 사대문을 기준…
소방 제도의 조직은 처음 1885년 지방에 소방조(消防組)를 창설하여 소방업무를 담당하도록 했다. 상주에는 1918년 소방조가 만들어졌으며, 조두(組頭), 부조두, 소두 등 조직으로 운영되었다. 이때의 기념비는 왕산공원과 화서면 신봉리에 있다. 그 후 1…
함창 지역은 고녕가야국(古寧伽倻國)이었는데 신라에서 취하여 고동람군(고릉군)이라했다. 경덕왕 때 고녕군으로 고치고, 964년에 함녕군, 1018년 함창현으로 상주목의 속현이 되었으며, 1895년 함창군이 되었다가 1914년 상주군에 편입되어 함창면이 되었다. …
일본인 학교는 1907년 7월 11일 상주공립심상소학교로 설립되었다. 설립은 일본인회의 학교조합(學校組合)에서 설립 자금 등 경제적 지원을 맡았다. 설립 당시인 1907년에는 교사 1명에 학생 10명, 그 이듬해에는 학생 16명이었다. 이 당시 상…
한국농어촌공사 상주지사(지사장 전기준)는 추석을 맞아 사회…
상주시는 '제4회 상주시 기업인상' 대상에 ㈜함라에이원 박…
상주시가 '제33회 경북도민 생활체육대축전'에 16종목 3…
상주시가 생활SOC 복합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경북 유…
상주시는 지난 4월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에서 선정된 농식…
경북도의회 김홍구 의원(상주)은 5일 제335회 정례회 제1차 본회의에서…
상주문화원 사무국장에 조성만 씨가 선임됐다. 임기는 다음달 1일부터 3년…
아내(77) - 차 한 잔의 아내 …
사진예술은 기다림의 미학이요 순간의 미학이라고 한다.인간의 눈으로는 절대 볼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은척면 두곡리 324번지에 있는 뽕나무로서 1936년경에 사진엽…
손톱깎이 시장 골목 한구석 손톱깎이 귀이개 검정…
남영숙 경북도의회 의원(상주, 농수산위원회)이 6일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
사단법인 한국수필가협회(이사장 최원현)가 최근 41년째 개최하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