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옥산역 일대의 모습이다. 이때에는 산현1길과 산현2길이 연결되어 있었는데 철도가 부설되면서 간이 건널목이 생겼다. 이 건널목은 지금 없어지고, 청리 방향으로 고가도로를 만들어 통행하고 있다. 좌측에는 역사가 멀리 보이며, 우측에는 증기기관차 급…
함창은 원래 고녕가야국(古寧伽倻國)이었는데 신라에서 빼앗아 복속시키면서 군(郡)으로 만들어 고동람군(고릉군)이라 했다. 경덕왕(742∼765) 때에는 고녕군으로 고쳤고, 964년에는 함녕군, 1018년에 함창현으로 고쳐 상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1895…
상주는 예부터 경상도 내 잠사업의 굴지로써 상주 명주(尙州絹)의 산지이다. 1914년에는 전체 23,178호 농가의 7할인 16,123호가 양잠 농가였다. 그중에서 은척면에는 769호 중 750호가 양잠을 했을 만큼 농가 대부분은 농사와 양잠을 겸했다. …
1912년 촬영한 함창읍 증촌리 7번지에 있는 고녕가야국 태조 왕릉의 전경이다. 왕릉은 지금보다 봉분 높이가 낮고, 뒤쪽으로 멀리 주흘산이 보인다. 왕릉 중앙에는 ‘가야왕묘(伽倻王墓)’라 새긴 상석을 설치하고, 그 앞에 향로석을 놓았다. 오른쪽에는 중앙에 …
상주의 경북선 철도는 김천~상주 사이 36㎞를 1924년 10월 1일, 상주~점촌 사이 23.8㎞는 그해 12월 25일 개통했다. 상주 구간 내에는 많은 철교가 놓였으나 그중에서 가장 긴 철교가 영강의 지류인 이안천에 부설한 이 철교다. 이…
공검지(恭儉池)가 한때는 삼한시대 저수지로 국정 교과서에 실렸었다. 고려 명종 때는 사록 최정분이 제방을 수축하여 그 주위가 36방리가 되었다. 본래는 함창현의 구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공검면이 되었다. 면 이름을 ‘공검(恭儉)’이라고 한…
옛 상주읍사무소 앞에 있었던 ‘상주 새마을교육원’ 개원 전경을 1973년 읍사무소 옥상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남성동 13번지 일대로서 지금의 ‘그린맨션’과 그 북쪽 중앙로 도로변에 상가가 들어선 곳이다. 이 건물은 1909년 1월 20…
옛 영남대로 낙동진(洛東津)이 있던 곳이다. 교통량이 많아 상주시 낙동리와 의성군 낙정리에 각각 작은 배와 큰 배를 대어 놓고 양쪽에서 운행했다. 하루에 몇 차례씩은 버스나 화물차도 배를 이용하여 낙동강을 건넜다. 육상 교통이 발달하고, …
이 사진은 조선총독부 광무과 상주출장소의 제1갱 입구에서 관리자와 광부가 함께 찍은 사진으로 1924년 7월 3일 출장소 폐지 이전 상황이다. 상주에 금 매장지는 병풍산과 그 자락에 이어지는 병성동, 헌신동, 외답동, 서곡동과 낙동면 …
1955년 창경궁에서 개최된 ‘해방 10주년 산업박람회’의 기념사진이다. 앞줄 중앙에는 이승만 대통령 대통령의 좌측에는 프란체스카 영부인, 우측에는 이기붕 제2대 민의원 의장으로 이때에는 ‘해방 10주년 기념사업…
흔히 큰일을 치른다고 말한다. 여기의 큰일이란 관혼상제(冠婚喪祭)를 말하는데 그중에서 상례를 가장 ‘큰일’이라 했다. 조선 이전의 시대에도 상례는 있었지만, 유교 중심의 조선 사회에서는 성리학 이념에 맞는 예제를 갖추고 주자의 가례를 따라…
상주에 극장이 처음 언제부터 운영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극장 운영을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1933년 2월 21일 부산일보에서 상주의 유력자 우에다 쿠마고로(上田熊五郞)가 3천 원으로 ‘상주 토목파출소’ 옆에 상주극장을 조만간 착공한다는 보도가 있었고,…
상산관은 상주목에서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望闕禮)를 봉행하던 객사(客舍)이다. 1896년 대한제국 때 망궐례가 폐지되면서 전국의 대부분 객사 건물이 공가로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신학교의 교사로 많이 활용되었다. 상주목의 객사는 처음 왕산 밑…
잠종 냉장고는 잠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누에씨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창고이다. 누에는 ‘알-애벌레-번데기-나방’으로 변태하면서 약 45일을 한살이로 사는 곤충으로 애벌레 때는 뽕나무 잎을 먹고 산다. 나방 상태에서 짝짓기하며, 암나방은 500개 정도의 …
‘상주공립농잠학교’로 1921년 3월 27일 설립 인가를 받아 올해 백 년을 맞았다. 그해 4월 25일 개교식을 하고, 교사가 없어 상주경찰서에 있던 ‘상주공립보통학교’에서 수업을 시작했다. 12월 24일에는 현재의 상주시청과 중앙초등학교가 있는 남성동 …
1976년 옥산역 일대의 모습이다. 이때에는 산…
경북교육청 상주도서관(관장 주경영)은 21일 오후 7시 지…
상주시는 17일 오후 청리면 소재 존애원(경상북도 기념물 …
바르게살기운동 경북 상주시협의회(회장 김정원)는 8일 경천…
함창은 원래 고녕가야국(古寧伽倻國)이었는데 신…
'꿈과 희망이 있는 상주, 시민이 행복한 상주'를 위해 한 가지 제안을 …
상주시 이통장연합회장에 이호상(58) 씨가 당선됐다. 임기는 2년이다, …
아내(77) - 차 한 잔의 아내 …
사진예술은 기다림의 미학이요 순간의 미학이라고 한다.인간의 눈으로는 절대 볼 …
1976년 옥산역 일대의 모습이다. 이때에는 산현1길과 산현2…
은자골 탁배기 딸어라 마셔라 주막집 외벽 가스 배관에 매…
남영숙 경북도의회 의원(상주, 농수산위원회)이 6일 전국여성지방의원네트워…
수필가들의 축제인 '제20회 수필의 날' 행사가 코로나19로 인해 간소하게 치러…